전체 글 (13) 썸네일형 리스트형 R 프로그래밍에서 결측치(NA) 처리 및 연산 방법 결측치(NA) 처리R 프로그래밍에서 결측치(missing value)는 NA(Not Available)라는 문자로 처리됩니다. 또한, NaN(Not a Number)은 분모를 0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계산이 불가능한 경우 출력되는 문자입니다. 이 글에서는 NA를 처리하는 방법과 결측치가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1. 결측치의 기본 이해R에서 결측치는 NA로 표시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벡터 y가 있을 때:y is.na() 함수는 벡터에 결측치가 존재하는 경우 TRUE를 반환합니다.is.na(y)# [1] FALSE FALSE FALSE TRUE 결측치가 포함된 벡터 y에 대해 요약 통계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결과에 NA's 항목이 포함됩니다.summary(y)# Mi.. 통계적 이상치 탐지: R을 활용한 단계별 가이드 이상치란?통계에서 이상치(outlier)는 데이터 샘플에서 관측된 값이 다른 관측값들과 큰 차이를 보일 때를 의미합니다. 이는 데이터의 가변성 때문일 수 있으며, 경우에 따라 잘못된 실험으로 인해 발생한 에러일 수도 있습니다. 후자의 경우 데이터 분석 이전에 반드시 이상치를 제거해야 합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R 프로그래밍을 활용해 다양한 이상치 검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0. 데이터 샘플링이상치 검출 테스트를 위해 이상치가 포함된 데이터를 생성해보겠습니다.1) 데이터 생성정규분포를 따르는 100개의 데이터를 생성하고, 그 중 일부 데이터에 이상치를 추가합니다.data 2) 데이터 분포 시각화생성된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화하여 이상치를 확인합니다.hist(data, breaks=20, probability.. DICOM (DCM) 이미지를 PNG, JPG로 변환하기 의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학습을 위해 DICOM 파일을 PNG나 JPG와 같은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. 예전에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다시 찾아보니,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패키지를 발견했습니다. 바로 mritopng입니다. mritopng 패키지 소개mritopng는 DICOM 파일을 PNG 포맷으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는 파이썬 패키지입니다. 설치와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며, 폴더 내의 모든 DICOM 파일을 일괄적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지원합니다. mritopng 설치 방법먼저 GitHub에서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합니다: mritopng GitHub Repository.다운로드한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.터미널(콘솔)에서 다음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.. 이전 1 2 3 4 5 다음